'정보'에 해당되는 글 43건
- 2009.10.19 Dropbox 서비스를 이용하여 폴더/화일을 여러대의 컴퓨터에 동기화하기.
- 2009.10.15 인터넷으로 미국에 무료로 전화하기.
- 2009.10.08 임시 전화번호가 필요할때.
- 2009.09.09 Outlook 2007에서 시작폴더 설정하기.
- 2009.09.09 UMN Netfiles 폴더 VISTA의 탐색기에 연결하기. (VBScript 이용)
- 2009.08.11 미국에서 인터넷으로 FAX 받기. (www.k7.net)
- 2009.05.09 워드2007에서 Macro 이용하여 원하는 명령어에 단축키 할당하기. (PasteSpecial / Equation 3.0)
- 2009.03.26 인터넷 플래시 동영상 다운받기.
- 2009.03.18 UMN Netfiles 활용하기.
- 2009.02.03 마우스 오른쪽 클릭으로 화일첨부 E-mail 보내기 (Gmail or Yahoo)

워드2007에서 Macro 이용하여 원하는 명령어에 단축키 할당하기. (PasteSpecial / Equation 3.0)
워드를 많이 사용하시는 분들중에서 마우스 사용하기를 귀찮아 하시는 분들은 단축키를 주로 이용합니다. Macro를 사용하면, 단축키가 지정되어있지 않은 명령어들도 지정할 수 가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많이 사용하실거라 생각되는 PasteSpecial과 Equation 3.0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PasteSpecial]
보통 윈도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가 copy (CTRL + C), cut (CTRL + X), paste (CTRL + V) 일 것입니다. 특히 인터넷에서 흥미있는 글을 스크랩해서 워드에 저장할때 위의 단축키들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포맷까지 같이 복사가 되어 지저분하게 저장이 되는 경우가 있죠. 이런경우 글만 저장하기위해서 사용하시는게 paste special인데 단축키가 지정되어있지 않죠. 아래 설명을 따라 단축키를 지정해봅시다.
영문 Word 2007을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View 탭의 Macros 버튼에서 아래쪽 화살표를 누르고, Record Macro를 선택합니다.
2. Record Macro창에서 name에 적당한 이름을 정하고 Keyboard버튼을 누릅니다.참고로 아이콘을 만들기를 원하신다면 Button버튼을 누르시면 툴바에 버튼이 만들어집니다.
3. Keyboard버튼을 누르면, 단축키를 지정하는 Customize Keyboard창이 나옵니다. Press new shortcut key에 적당한 단축키를 할당한다음 아래쪽의 Assign버튼을 누르고 Close버튼을 누릅니다. 전 Ctrl + Alt + V로 했습니다. (Ctrl + Shift + C / V)는 포맷 복사/붙여넣기로 이미 할당되어있습니다.)
4. 창이 닫기면서 마우스 커서 모양이 테이프레코더로 바뀝니다. 실제로 저장할 동작을 수행해봅시다. 우선 포맷이 있는 아무글이나 범위를 지정해서 CTRL + C로 클립보드에 저장합니다.
5. PasteSpecial을 찾아 눌러봅시다. 참고로 PasteSpecial은 Home – Paste arrow – Past Special에 있습니다.
6. Paste Special 창에서 Unformatted Text를 선택후 Ok를 누릅니다.
7. View – Macros Arrow – Stop Recording을 눌러 기록을 마칩니다.
[Microsoft Equation 3.0]
Word 2007에는 새로운 수식 편집기가 내장되어있으나, 호환성문제로 이전버전에서 많이 사용되던 Microsoft Equation 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계실겁니다. 이전버전에서는 쉽게 이 아이콘을 툴바에 삽입할 수 있었는데, 2007에서는 기존의 방법으로는 안되더군요. 수식을 많이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단축키를 할당해 놓으면 편하실 겁니다. 역시 위와 같은 방법으로 Macro를 이용하여 하시면 됩니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웹 하드 서비스가 있습니다. 학교 계정이 있는 학생이면 누구나 5GB의 저장 공간을 제공합니다.
이미 아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이를 약간 응용해서 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참고로 이 방법은 아직Vista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T.T)
윈도우에는 Web Folders라는 서비스가 있는데, Netfiles의 공간을 여기에 연결하면 Windows Explorer(탐색기)에서 바로 엑세스 할 수 있습니다.물론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겠지요. 연결방법은 아래처럼 하시면 됩니다.
탐색기를 열고, Tools – Map Network Drive를 선택합니다.
Map Network Drive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아래의 링크 Sign up for … 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위저드 창이 나오고 Next를 누르고,다음 창에서 Choose Another Network location 을 선택한다음 Next를 누르세요.
다음화면에서 주소창에 https://netfiles.umn.edu/users/{본인의 ID}를 입력하시고 Next를 누르세요.
잠시후 계정정보 입력창이 나오면 자신의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시고 OK.
이 연결에 적당한 이름을 지어주신다음에 Next.
성공적으로 연결이 된 다음, Finish 누르면 됩니다.
탐색기를 열어보시면, My Network Places 밑에 연결된 Netfiles폴더가 생성된것이 보입니다. 이제 이 폴더를 일반폴더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netfiles 설명서를 보니 www폴더를 만들어서 public에 대해 read 권한을 주고, 여기에 index.html을 만들면 개인용 웹페이지용도로도 사용가능하다고 하네요.
또, 적당히 큰 용량의 화일여러개를 외국인과 공유하고자 할때도 폴더 하나 만드시고 그 폴더에 역시public의 read권한을 주고 상대방에게 링크를 아래와 같이 주세요.
https://netfiles.umn.edu/users/{본인의 ID}/{폴더명}
혹시 위처럼 그림 설명이 필요하시면 요청에 따라 이것도 만들어드리겠습니다.